구기자 구기자는 간장, 신장을 보하고 정력을 북돋워주는 효능이 있다. 특히 구기 자는 독성이 없어 오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신장에 작용하여 허로 손상을 낫 게 하고 눈을 밝게하며 양기를 왕성케하여 허리를 튼튼하게 해 준다. 지봉유 설에 구기자와 관련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나이어린 여자가 늙은이를 ..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감초 맛은 달고 성질은 平하다. 주로 비기와 폐기를 보호하고,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게하며 해열, 해독작용이 있다. 감초는 약재를 아우르는 성질이 있어 각각의 약재들을 조화시켜주는 특징을 갖는 약재이다. 보통 인후통, 목이 아픔을 상복하기도 하며 진정작용이 있고, 알레르기 및 소염작용에도 효..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갈근 성질은 평이하고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酒毒 및 해열 갈증해소(동의보감) 고지혈증 낮춰주고 혈압도 낮춰준다. 숙취해소, 발한 해열 근육의 긴장 완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위경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하고 열을 내리며 진액을 불려주고 갈증을 멈추며 발진을 순조롭게 하고 술독을 풀어준다. 약..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생강 일명 새앙이라고 하며,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고려사>, <향약구급방>에서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전라북도(봉동), 충남이 총생산량의 92%를 차지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 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 구..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두충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면역 기능을 강화 시킨다. 정력 및 기억력 감퇴 고혈압에 효과 좋다. (장복하면 유익하다) 두충은 강장 효과가 있어 몸을 튼튼하게 한다. 다리에 힘이 없을 때, 요통, 진정, 생식 기능의 증진에 효과적이다. 두충은 약재가 그리 비싸지도 않으며 꾸준..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겨우살이(기생) 겨우살이 / 참나무, 밤나무, 팽나무 등에서 기생하는 겨우살이. 줄기와 잎을 끓여 먹으면 동상, 치통, 요통 등에 효염이 있다고 하여 한약재로 많이 이용된다. 생약에서 기생목(寄生木)은 이것 전체를 말린 것이며, 산의 나무에 해를 주지만 약용으로 쓴다. 한방에서 줄기와 잎을 치한(治寒) ·평보제(平..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동충하초 동충하초 속균은 불로장생의 비약(인삼, 녹용과 함께 3대 한방약으로 불림)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정 강장비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성질 따뜻, 성기능 감퇴나 혈액순환 왕성하게 해준다. 종양억제, 항암효과, 기억증진, 면역력 강화를 시켜준다. - 신장 과 폐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초종신 ..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우슬 다년생 약초인 “쇠무릎”의 뿌리를 말린 약재를 말한다. 상약중의 상약으로 혈액을 잘 돌게 하고 어혈을 풀어주고 부스럼 타박상에 효과 있다. 혈액이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애는 성질이 있으므로 월경불순 · 난산 · 산후복통 · 산후자궁무력증 · 타박상 · 부스럼 등에 쓴다. 약리실험에서 이..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진피 진피는 신경성 소화장애 및 안정, 감기, 기침에 효과 식욕부진 구토에 효과적이며 약재가 오래 될수록 효과가 높다. 진피(陳皮)는 귤껍질이 아니다. 물론 귤이 일종이나 우리가 늘 먹는 귤껍질을 말린 것은 귤피(橘皮)이며, 익지 않은 귤껍데기는 청피(靑皮)라고 한다. 진피(陳皮)는 귤피(橘皮)와 다르며..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
대추 비타민 아미노산 씨토스테롤(고혈증에 사용), 미네랄등 함유 진정작용, 위장염(위정관운동) 소화기 계통에 효과가 있고 소음인에게 좋다.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약재상식과 사진 2006.07.18